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KT와 SK텔레콤의 무선랜(와이파이) 보안 정책이 엇갈리고 있다. <BR>KT는 인증자체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SK텔레콤은 사용은 자유롭게 하되, 무선구간의 암호화를 통해 보안문제를 해결하자는 입장이다. <BR><BR>하지만 보안업계는 이들 모두 보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. 접근 제한여부나 암호화보다는 사용자의 주의, 전문 소프트웨어를 통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이다. <BR><BR>◆인증강화VS암호화, 상반된 입장 왜?=KT는 유료로 무선랜 서비스인 네스팟을 운영하고 있다. 와이파이는 유선인터넷의 확장개념으로 볼 수 있다. 네스팟에 초고속인터넷 점유율 등을 감안할 때 KT가 가장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. <BR><BR>당연히 KT 입장에서는 무선랜을 개방하는 것이 달가울리 없다. 때문에 보안 이슈 등을 이유로 인증강화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. <BR><BR>반면, SK텔레콤은 KT에 비해 무선랜 경쟁력이 떨어진다. 올해부터 와이파이 투자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지만, 무선인터넷 경쟁력 확대를 위해서는 무선랜 개방이 절실한 상황이다. <BR><BR>때문에 무선랜 개방을 주장하고 있으며 사설 AP(무선접속장치)에 대한 보안 이슈는 무선구간에서의 암호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계획이다. <BR><BR>하장용 SK텔레콤 네트워크 부문장은 "우리는 사전에 가입자 차별을 하지 않을 계획"이라며 "유선인터넷과 같은 문제는 이미 존재해 있고, 문제는 도청 등의 이슈를 암호화를 통해 해결할 것"이라고 말했다. <BR><BR>◆암호화, 인증강화 근본적 해결방안 못돼=하지만 보안업계는 거대 통신사의 전략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. <BR><BR>유선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침해사고, 해킹, 악성코드 등의 이슈가 그대로 무선단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인증이나 암호화로는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. <BR><BR>특히, 유선인터넷은 상대적으로 방화벽 등 보안시스템이 무선에 비해 잘 형성돼있음에도 불구, 침해 위협으로 부터 안전하지 않다. 이런 상황에서 유선에 비해 훨씬 열악한 무선랜 구간에서 암호화는 최소한 유선에서의 상황과 비슷한 수준에서 이뤄져야 안전하다는 것이다. <BR><BR>보안 업계 관계자는 "아무리 인증을 철저히 하고, 암호화를 하더라도 특정인이 악성 AP를 만들 경우 무방비 상태에서 당할 수 밖에 없다"며 "PC를 관리하듯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보안프로그램을 깔고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"고 말했다. <BR><BR>이 관계자는 "와이파이 사용 증가로 앞으로 스마트폰 등에서의 보안 이슈는 점점 확대될 것"이라며 "스마트폰 및 일반 휴대폰에서 와이파이 사용 증가로 전용 백신도 속속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"고 덧붙였다. 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